과거회상대화가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1-02-25 19:04 조회925회 댓글0건본문
상담사 | 잠실센터 손한결 선생님 |
---|---|
주제 | |
대상 | 아동, 부모 |
기타 |
과거회상대화가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헬로스마일 잠실센터 손한결 선생님 칼럼
자녀는 일상생활 속에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외부 세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가치관을 습득하면서 사회화의 기초를 형성해갑니다. 유아기 이후에는 언어발달로 인해 부모와의 대화에 보다 더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고 부모의 생각 및 의도를 이해하게 됩니다. 특히, 과거회상대화(memory talk)와 같이 부모와 자녀가 과거에 발생한 특정한 사건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눈다는 것은 단순히 과거의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부모와 자녀가 공유된 경험을 재구성함으로써 가족의 역사를 함께 만들어가는 사회적 기능을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과거회상대화가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과거회상대화가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면, 부모가 자녀와 함께한 과거경험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개방적이고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 대화를 하는 것이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김소영, 신나나, 2019). 국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 경험에 대하여 더욱 개방적으로 이야기를 나누고, 수용적인 태도를 보일수록 자녀의 타인에 대한 정서이해능력이나 공감 능력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Laible, Murphy, & Augustine, 2013), 부모가 대화내용 중 정서에 대한 언급을 많이 하고, 마음 상태에 대한 언어를 많이 사용할수록 자녀의 타인에 대한 정서 이해도가 높아졌습니다(Thompson, Laible, & Ontai, 2003). 이처럼 과거회상대화는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과거회상대화를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실천할 수 있을까요?
그럼 과거회상대화를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하면 좋을까요?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도움이 되는 과거회상대화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부모는 자녀가 자연스럽게 자신의 과거 경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정서적으로 지지해주고, 격려하며 공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둘째, 과거회상대화 시 부모는 자녀가 과거사건에 대해 기억해낼 수 있도록 새로운 질문을 정교하게 제공하거나 사건에 대한 단서를 이야기해줄 때 자녀가 과거에 경험한 사건에 대한 사실뿐만 아니라, 그 때 경험했던 감정이나 갈등 등을 다시 기억하고 재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과거회상대화 시 부모는 자녀가 과거사건에 대해 기억해낼 수 있도록 새로운 질문을 정교하게 제공하거나 사건에 대한 단서를 이야기해줄 때 자녀가 과거에 경험한 사건에 대한 사실뿐만 아니라, 그 때 경험했던 감정이나 갈등 등을 다시 기억하고 재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셋째, 자녀가 과거에 일어났던 일에 대해 회상하면서 대화할 때 부모는 적극적으로 반응해주고, 자녀의 요구에 긍정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과거회상대화 시 부모는 자녀에게 자신과 타인의 지식이나 사고, 기억 등을 나타내는 인지상태용어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이는 인지상태용어가 타인에 대한 마음 상태와 행동을 인지적으로 추론하게 하고 이해하도록 하여 상대방에 대한 생각과 의도를 고려한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한 행복한 시간들을 추억하며 대화를 나누는 그 시간이 또다시 좋은 추억으로 기억될 것입니다.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해 자녀의 성향과 특성을 잘 파악하여 과거 경험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정기적으로 가지시길 권합니다.
※ 참고문헌
- 김소영, 신나나 (2019). 과거회상대화 시 어머니의 대화유형 및 대화내용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도덕적 판단의 매개적 역할.
- Laible, D., Murphy, T. P., & Augustine, M. (2013). Constructing emotional and relational understanding: The role of mother-child reminiscing about negative valenced events.
- Thompson, R. A., Laible, E., & Ontai, L. (2003). Early understanding of emotion, morality, and the 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