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몇 달전 한 아동의 놀이평가를 한 후에 주호소문제인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발달의 문제라기보다는 제한적인 면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자폐스펙트럼 경계일 가능성이 있다고 소견을 말하니 아동의 어머니께서 화를 많이 내서 난감한 적이 있었다.
내원 아동을 관찰한 후 저로서는 마음의 부담이 되는 것이 자폐스펙트럼이다. 인지적인 문제나 상동행동, 상호작용의 어려움이 동시에 보이면 부모님도 받아들이지만 경증의 자폐스펙트럼은 알아보기도 어렵고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경우들이 있어서 부모님들이 받아들이기도 어려워하고 치료시기도 놓치기가 쉽다.
정확한 검사도구가 없어서 더욱 진단하기가 어려웠는데 다행히 ADOS(Autism Diagnostic Obseration Schedule)검사가 생겨서 이전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ADHD만큼이나 자폐스펙트럼 아동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실제 상담에서 느껴지고 있다. 하지만 경증인 경우에는 눈마주침이 가능하고 소통에 크게 불편함이 없으며 인지적으로도 문제를 보이지 않아서 내성적이거나 혼자 노는 것을 더 편해하는 아이정도로만 보여지는 경우들이 많다.
자세히 관찰을 해보면 의사소통의 문제가 크지는 않으나 말투가 책을 읽거나 대사를 외듯이 단조로우면서 독특함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아동도 막연히 자신이 상황 대처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아서인지 예측하지 못한 일이 일어날까봐에 대한 막연한 불안이 있어서 강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강한 자극적인 생활 사건에 대해서 감정처리가 어려워서 주변인이 지칠 때까지 이야기를 반복해서 하는 경우도 있다.(일반 아동의 경우보다 횟수가 더 많고 오래감) 관심이 있는 한가지 주제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파고들어서 똑똑한 아이라고 인식이 되어지기도 하지만 관계에서 얻어지는 충족감을 자신이 일방적으로 알아내는 사실을 확장함으로 이를 대신하는 것으로 생각이 된다.

또한 승부나 시험에서 이기고 만점을 받아야지 그렇지 못하면 자신을 쓸모없다고 생각이 들어
서 화를 냈다가 금방 의기소침해지기도 한다
자폐스렉트럼 중증인 경우에는 감각통합치료,언어치료, ABA치료를 권하지만 경증의 자폐스펙트럼은 놀이치료가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일단은 아동의 소통 방식을 인정하고 치료사가 아동의 소통방식의 바운더리에 들어가서 라포를 형성하고 안심을 시킨후에 주고받는 대화의 중요성을 반복 설명하고 기다리고 답하고 질문할 수 있도록 한다.
자폐스펙트럼 아동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추상적인 단어에 대한 이해인 것으로 보인다. 눈으로 보는 사물 명명이나 일어난 일에 대한 묘사는 굉장히 정확하고 기억의 용량도 크다. 감정에 대한 형용사인 당황스러운, 불안한, 외로운, 짜증이나는, 편안한 등의 단어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
어떤 아동은 기분을 색으로 표현을 하거나 수치로 표현을 하기도 한다. 상담자의 경우에는 상황극에서 감정적인 단어를 사용하여 눈으로 보고 의미를 알고 비슷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일반 아동은 비슷한 상황에서는 저절도 적용할 수 있고 스스로 키워나갈 수 있지만 자폐스펙트럼 아동은 매번 설명하고 알려줘야한다.
치료사로서는 5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하여서 또래관계에 대한 이해와 시도를 도울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하고 싶다. 나이가 들수록 아동은 자신이 정해놓은 방식에 다가오지 못 하도록 굉장히 방어적이므로 시간도 길어지고 효과도 적어서 시간과 비용에 비해서 치료효과가 미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오랜시간 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들이 있으며 고학년이 될수록 자신이 친구들과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고 외로움을 느끼는 것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 아동에게 변화된 점을 설명하고 다른 아이들의 성장과 비교하면 보폭은 차이가 있고 형태도 다르지만 아동의 방식으로 해나가면 된다고 강조하고 지지감을 준다.
글쓴이 : 하정희 부원장 ( 헬로스마일 심리상담센터 광명점 )